국민 다수 “스승의 날=세종대왕 나신 날?…몰랐어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5월15일은? 작성일25-05-13 14:49 조회85회 댓글0건 내용복사 즐겨찾기첨부파일
관련링크
본문
국민 4명 가운데 3명은 5월 15일 ‘스승의 날’이 ‘세종대왕 나신 날’인지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어문화원연합회는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5일까지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 이 같이 조사됐다고 오늘(13일) 밝혔습니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뒤 처음으로 맞이하는 ‘세종대왕 나신 날’을 기념하기 위해, 국민 1,077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
조사 결과 응답자 76.3%는 ‘세종대왕 나신 날이 언제’인지, ‘세종대왕 나신 날과 스승의 날 간의 관계가 무엇’인지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월 15일이 ‘세종대왕 나신 날’인 사실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60대가 31.5%로 가장 높았고, 10대가 16.7%로 가장 낮았습니다.
스승의 날은 1958년 충남의 한 여자고등학교에서 병을 앓고 계신 선생님을 보살피는 봉사활동으로 시작됐습니다.
그러다 1964년 5월 26일을 ‘은사의 날’로 기념하다가 1965년부터 교원 단체 중심으로 겨레의 참 스승을 본받자는 의미로 ‘세종대왕 나신 날’인 5월 15일을 스승의 날로 정했습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농사직설’ 편찬, 출산 휴가 130일, 독서 휴가, 토지 세금 제도 여론조사 시작 등 세종대왕의 업적에 대한 국민 생각도 확인했습니다.
세종대왕은 관청에서 일하는 여성 노비의 출산 휴가 7일을 130일로 늘리고, 아기를 낳은 여성 노비의 남편에게까지 30일의 휴가를 주었습니다.
이 같은 출산 휴가 정책을 알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 10명 가운데 6명은 ‘알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전국 백성 17만여 명을 대상으로 논·밭 세금 제도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했던 데 대해서는 응답자의 58%가, ‘농사직설’ 편찬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3.8%가, 집현전 학사에 대한 ‘독서 휴가’ 정책에 대해서는 82.2%가 알고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